프로젝트 개요
KAIST 경영공학부에서 학부생 대상으로 개설한 BIZ558 Marketing 수업의 프로젝트로, "SM Entertainment의 글로벌 마케팅 전략 수립"이라는 주제를 받았습니다. 당시 FIFTY FIFTY "Cupid"이 TikTok을 통해 빌보드 Hot 100에 진입한 사례에 주목하여, SM이 4대 기획사 중 유일하게 미국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바이럴 마케팅을 돌파구로 제시했습니다.
분석 과정 및 결과
Chartex에서 TikTok K-pop 상위 30곡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Spotify API를 통해 각 곡의 음악적 특성(danceability, tempo, valence 등)을 분석했습니다. 선형 회귀 분석 결과, 높은 Danceability와 빠른 Tempo, 낮은 Valence가 바이럴 성공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²=0.523), 이를 4세대 걸그룹에 적용했을 때 LE SSERAFIM과 NewJeans가 높은 바이럴 점수를 획득하여 실제 성과와 일치했습니다. FIFTY FIFTY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버전 제공과 "Easy Listening" 전략의 효과도 확인했습니다.



성과 및 의의
내부 발표에서 우수 발표팀으로 선정되어 SM Entertainment 본사에서 CGO를 포함한 C-level 경영진 앞에서 직접 데이터 기반 마케팅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신규 걸그룹 런칭 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음악 제작 가이드라인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실제 기업 의사결정에 활용 가능한 실무적 결과물을 도출했다고 평가 받았습니다.